반려위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예방과 치료 & 체크 리스트!

슬개골 탈구

강아지 슬개골 탈구란?

슬개골 탈구는 강아지의 무릎뼈(슬개골)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 이동하는 질환이에요. 이는 주로 소형견에서 많이 발생하며, 걷기 어려움과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요. 슬개골은 무릎 관절의 중요한 부분으로, 탈구가 발생하면 강아지의 움직임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 슬개골 탈구의 원인

슬개골 탈구는 주로 유전적 요인에 의해 발생해요. 특정 소형견 품종인 말티즈, 푸들, 치와와, 포메라니안 등이 이에 취약합니다. 또한 외상이나 사고, 그리고 잘못된 운동 방법이나 과도한 활동도 슬개골 탈구의 원인이 될 수 있답니다​.

  • 슬개골 탈구의 증상

슬개골 탈구의 증상은 초기에는 경미할 수 있지만, 점차 심각해질 수 있어요. 초기 증상으로는 강아지가 걷기를 꺼리거나, 갑자기 한쪽 다리를 들고 걷는 모습을 보입니다. 중기 및 말기에는 무릎 부위에 부종이 생기면서 만성적인 통증을 호소하며, 증상이 아주 심한 경우 다리를 사용하기 어려울 정도예요​.

  • 슬개골 탈구의 진단

진단을 위해서는 정밀한 신체 검사가 필요합니다. 수의사는 걸음걸이 평가, 관절 굴곡-신전 운동 범위 평가, 슬개골 위치 확인 등의 검사를 통해 진단합니다. 필요한 경우 방사선 촬영이나 CT, MRI와 같은 고급 영상 검사를 통해 보다 정확한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강아지 슬개골 탈구 예방 방법

슬개골 탈구 예방

1. 슬개골 탈구 예방을 위한 적절한 운동

적절한 운동은 강아지의 관절 건강을 유지하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과도한 점프나 격렬한 운동은 슬개골 탈구를 유발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합니다. 대신 산책이나 가벼운 운동을 통해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을 유연하게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산책은 매일 규칙적으로 진행하며, 무리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2. 강아지의 체중 관리

과체중은 슬개골 탈구의 주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체중이 증가하면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강아지의 체중을 적절하게 관리해야 해요. 균형 잡힌 식단과 정기적인 운동이 필수적이며, 수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체중 관리 계획을 세우는 것이 효과적이에요​. (관련링크 : 통실통실 사랑스러운 우리아이가 비만? 반려동물 BCS를 확인해보아요!)

3. 영양 관리

강아지의 식단은 건강한 관절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관절 건강을 위해 글루코사민, 콘드로이틴과 같은 관절 보조제를 포함한 균형 잡힌 식단을 급여해주세요. 또한, 오메가-3 지방산이 풍부한 음식을 통해 염증을 줄이고 관절 건강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 수의사와 상의하여 적절한 영양 보충제를 선택하는 것이 좋아요​.

4. 안전한 환경 조성

강아지가 생활하는 환경도 슬개골 탈구 예방에 중요한 요소입니다. 미끄러운 바닥은 강아지의 관절에 부담을 줄 수 있으므로 카펫이나 러그를 사용하여 미끄럼을 방지해주세요. 계단을 자주 오르내리게 하는 것도 슬개골 탈구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필요시 강아지가 계단을 이용하지 않도록 하거나 안전한 계단 이용 방법을 가르치는 것이 좋답니다.

5. 정기적인 건강 검진

정기적인 건강 검진을 통해 강아지의 관절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필요해요. 슬개골 탈구는 초기 발견 시 비수술적 치료로도 관리가 가능하므로, 조기에 발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수의사의 정기 검진을 통해 강아지의 관절 상태를 체크하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할 수 있어요​.

6. 슬개골 탈구 예방을 위한 장난감 선택

강아지가 사용하는 장난감도 슬개골 탈구 예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것 알고계셨나요? 지나치게 격렬한 활동을 유발하는 장난감은 피하고, 적절한 크기와 강도의 장난감을 선택합니다. 강아지가 안전하게 놀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부상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중요해요​.

7. 슬개골 탈구 예방을 위한 훈련

강아지에게 올바른 움직임을 가르치는 것도 슬개골 탈구 예방에 도움이 돼요. 예를 들어, 과도한 점프를 피하도록 훈련시키고, 계단을 오르내릴 때 조심하도록 가르쳐 주세요. 이러한 훈련은 강아지의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슬개골 탈구의 위험을 낮출 수 있을거예요.

슬개골 탈구의 비수술 & 수술 치료

슬개골 탈구 치료

a. 슬개골 탈구의 비수술적 치료

비수술적 치료는 초기 단계의 슬개골 탈구에 효과적이에요. 체중 관리는 관절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 관절 보조제를 통해 관절을 강화할 수 있어요. 또한, 운동 조절과 물리치료는 강아지의 근육을 강화하고, 관절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수의사의 지침에 따라 적절한 운동과 치료 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슬개골 탈구의 수술적 치료

슬개골 탈구가 심각하거나 비수술적 치료로 호전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 치료를 진행하기도 하는데요, 수술 방법에는 슬개골을 제 위치로 고정하는 수술, 관절 주변 구조를 강화하는 수술 등이 있어요. 수술 후 회복 과정에서는 무리한 운동을 피하고, 수의사의 지침에 따라 적절한 재활 운동을 진행하는 것이 중요해요. 회복 기간은 보통 6주에서 3개월 정도 소요된답니다​.

 

 👉슬개골 탈구 진단 체크리스트!

슬개골 탈구는 조기 발견이 중요해요. 다음 체크리스트를 통해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만약 아래 항목 중 10개 이상 해당된다면 빠르게 수의사와 상담하시는 것을 권장드려요!

1. 걷기 및 움직임 관련 증상

  • 걷기를 꺼리거나 갑자기 한쪽 다리를 들고 걷는 모습이 보인다.
  • 가끔 다리를 절뚝거리며 걷는다.
  • 걷는 중간에 갑자기 멈추고 다리를 들어 올린다.
  • “스킵”하는 듯한 걸음걸이를 보인다.
  • 뛰거나 점프할 때 주저하거나 아파하는 모습을 보인다.

2. 신체 및 자세 관련 증상

  • 무릎 부위에 부종이 있거나 붓기가 관찰된다.
  • 다리를 쭉 펴거나 굽히기 어려워한다.
  • 다리를 들고 있으면서 절뚝거리는 모습이 보인다.
  • 허리를 자주 구부리면서 걷는다.
  • 다리를 들어 올리면 통증을 호소하거나 불편해한다.

3. 활동 관련 증상

  • 높은 곳에서 뛰어내리기를 꺼린다.
  • 계단을 오르내리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 운동 후 통증이 심해진다.
  • 갑자기 활동량이 감소했다.
  • 특정 자세에서 움직이지 않으려고 한다.

4. 진단을 위한 물리적 검사

  • 무릎을 굽혔다 폈다 할 때 뚜렷한 ‘딸깍’ 소리가 난다.
  • 무릎 부위를 만졌을 때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난 느낌이 든다.
  • 슬개골을 손으로 밀어내거나 밀어넣을 때 저항 없이 움직인다.
  • 다리를 확장하거나 굽힐 때 비정상적인 움직임이 감지된다.
  • 슬개골 부위에서 염증이나 열감이 느껴진다.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는 어느정도 예방이 가능한 질환이에요. 적절한 운동, 체중 관리, 영양 관리, 안전한 환경 조성, 정기적인 건강 검진, 장난감 선택, 올바른 훈련, 그리고 필요한 경우 적절한 치료 방법을 통해 강아지의 슬개골 탈구를 예방하고 관리할 수 있답니다. 강아지의 오랜 건강과 행복을 위해 알려드린 예방 및 치료 방법을 실천해 보세요.

 

✔ 참고 논문 자료

Share this post

Avatar
About the author